러우전 전황 5

Keith Kellogg의 잘못된 내러티브(재수정)

켈로그 특사의 전황인식러우전 협상특사 켈로그 장군이 임명된 이유는 그가 바이든 행정부의 우크라이나 정책을 비판해왔고, 트럼프의 정책을 옹호해왔기 때문이다. 그는 방송에 출연하여 다양한 코멘트를 해왔는데, 트럼프는 일찍부터 그의 의견에 동조해왔던 것으로 보인다. 그의 러우전 협상 방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2024년 4월에 AFPI(미국우선정책연구소) Center for American Security에서 발표한 보고서 America First, Russia, & Ukraine를 읽어보면 잘 이해할 수 있다.  America First, Russia, & UkraineRussia’s ongoing war against Ukraine was an avoidable crisis that, due to the B..

우크라이나 주요 전황 2025년 2월 5일(현지시간) 기준

1. 돈바스 전선: 마라트 카이룰린의 전황 소개돈바스 전선의 3곳에 대해서는 러시아의 유명한 텔레그램 채널 마라트 카이룰린에서 올린 2월 5일 기준 간단한 전황 요약에 필자가 설명을 달았다. 3 지역에 대해 현재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 대한 보다 상세한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 참고로 마라트 카이룰린의 지도는 정확하기로 유명하다.  쿠피안스크 지역루한스크 전선 최북단 쿠피안스크 방향에서는 서부군 그룹이 노봄린스크 지역을 해방했고, 드부레흐나야와 노봄린스크 지역의 오스콜 강 오른쪽 강둑의 교두보를 확장했으며, 강건너로 빠져나갈 가능성과 다른 지역 교두보를 형성하기 위해 북쪽에 위치한 우크라이나군의 방어선을 조사했다. 토폴리 정착지에서 적의 방어선에 쐐기를 박는데 성공했고, 압박을 받은 우크라이나군은 요새화된 ..

우크라이나 6개월 내 소멸 정보 보고 논란

우크라이나가 현재 심각한 상황에 처해있다. 안그래도 어려운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외국지원 90일 동결 등의 압박으로 민심이 변하고 있다. 전선의 상황은 붕괴속도가 빨라서 현재의 속도로는 몇 주 내로 드네프로의 경계도 무너질 수 있다. 러시아병사들에 따르면 Kursk 지역은 2월이면 우크라이나군을 완전히 러시아 밖으로 몰아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그정도로 전장의 상황이 통제불능에 가까운 상태로 몰리고 있다. 지금 우크라이나에서는 우크라이나 당정 회의에서 우크라이나 국방정보부장 Kyrylo Budanov가 6개월내에 협상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우크라이나의 생존이 위험해진다는 발표를 했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다. 이것이 문제가 되자, 이를 부인하는 보도자료를 낸 바도 있는 등 극심한 혼란에 직면하..

우크라이나전황 Update 1-14

Kusk 역습 (CounterAttack) 이후  1월 5일에 시작했던 Kursk 역습은 약 2일 정도만에 진압되었고, 우크라이나군은 사실상 다시 원점으로 복귀했다. 2024년 8월 6일 시작한 1차 공격 이후 5개월 간 큰 손실을 입으면서 점령했던 지역의 60% 정도를 러시아군이 다시 탈환했는데, 2차 공격은 어떤 새로운 전략적인 목적에 대한 추측도 하기 전에 실패한 것으로 드러났다. 중대급 정도의 공격에 지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우크라이나군은 큰 손실을 입었다. 지난 포스팅 우크라이나 전황 Update 2025-1-6 에서 설명한 것에 더해 새로운 것이 거의 없을 정도로 미미한 후속공격이 진행되었다. 오히려 수자지역에서 러시아군의 공격이 강화되어 우크라이나군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아래의 Kurs..

우크라이나의 붕괴 임박과 미국의 동떨어진 현실인식

뒤늦은 지상군 개혁 2024년 12월 12일 우크라이나군의 신임 지상군사령관 미하일로 드라파티가 지상군 개혁 계획을 발표한데 이어,  2025년 1월 2일, 루스템 우메로프 국방장관은 우크라이나의 지상군 사령부를 총괄적으로 감사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상군의 개혁에 힘을 실어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만큼 문제가 만연해있어서, 지상군 사령부의 혼자 힘으로 개혁은 쉽지 않음을 드러낸 것이기도 하다. 개략적인 아젠다는 부패에 대한 절대 관용을 베풀지 않는 징집체계 개편, 일선 병사의 교육 강화, 첨단 기술을 운영에 통합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즉, 인력의 부족에 대한 문제를 체계적으로 해결하려는 것이다. 일선부대의 인력부족을 동원의 저조에 원인을 돌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크라이나 군에는 탈영 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