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전쟁 250

트럼프의 최후통첩과 다극화된 질서 속에서 위기에 처한 미국의 외교 정책

트럼프가 러시아에게 러우전을 끝내기 위한 협상에 50일 안에 합의하지 않으면 가만두지 않겠다는 대규모 최후통첩을 발표한 지 며칠 지났다. 러시아는 마치 위협이 없었던 것처럼 평소와 다름없이 업무를 수행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렇다면 이 분쟁이 어디로 향하고 있다는 의미일까? 러시아가 분명히 자신의 요구에 굴복하지 않고 있는데 트럼프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미국이 러시아를 상대로한 우크라이나에서 대리전의 패배로부터 주의를 돌릴 수 있을까? 이 포스트에서는 트럼프의 50일 최후통첩에 대해서 살펴본다.러시아의 불변하는 입장과 트럼프의 오판러시아는 트럼프의 최후통첩에 대해 일관되게 단호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푸틴은 트럼프가 당선되기 전부터 일관된 목표를 가지고 있었고, 어떠한 양보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분명히..

트럼프에 대한 네오콘의 압력

일전에도 언급한 바 있듯이 David Igantius는 CIA의 마우스 피스이다. 그의 생각은 네오콘의 생각을 대체로 대변한다고 보면 거의 맞다. 지난 주 WaPo 오피니언 란에 푸틴에 압박을 가하는 트럼프는 '확전을 완화하기 위해서 확전'을 하고 있다 라는 제목의 글을 게재했다. 상당히 가소로운 말이지만, 현재 네오콘들의 생각의 천박함이 어느 정도인지 가늠할 수 있는 글이므로 그 내용을 소개한다.※ 전체 내용을 보실 분들: 원문 링크※ 번역문: 번역기 돌려서 다듬은 수준이므로 참고하시기 바란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2025년 7월 14일,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새로운 강경책을 발표했다. 그는 알프레드 노벨이 다이너마이트 발명으로 부를 쌓은 것처럼, 자신도 '파괴적인' 사업 전술을 통해 우..

경읽남 출연 영상

지난 3월에 이어 4달 만에 경읽남 채널에 출연하여 김광석교수와 토론(7월 8일 촬영)하였다. 나중에 찾기 쉽도록 포스트를 남긴다. 3부에 나누어 영상을 올릴 때까지 업데이트해서 포스트에 업로드할 것이다. '경읽남 토론합시다'는 김광석 교수는 준비한 내용과 달리 흐름을 따라서 의 매우 예리한 질문을 하여, 좀 당황스럽기는 했지만, 긴장을 하게 되어 토론 내내 흥미로웠다.1부 2부 3부

러우전 전황 업데이트(2025-07-12)

오늘은 대표적인 친우크라이나 매체인 미국의 ISW의 전황보고를 그대로 전달한다. 이 매체도 이제 러우전에 대해서 지쳤는지 별다른 상세한 보고를 하지 않고 있다. 링크는 걸어두었으나, 간단하게 그림으로 모든 것을 알 수 있으니 복잡한 보고서를 읽지 마시길 바란다. 보고 내용은 그대로 요약했으며, 필자의 코멘트는 파란 색으로 덧붙였다.우크라이나 전선에서의 지속적인 교전과 서방 지원의 중요성2025년 7월 12일, 전쟁 연구소(ISW)의 평가에 따르면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대규모 공세를 지속하고 있으며, 특히 드론 및 미사일 공격과 지상 작전이 두드러지고 있다. 동시에 우크라이나는 서방과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방위 산업 기반을 강화하려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복잡한 설명이 필요없다. 아래의 ISW 제공..

우크라이나에서 손을 빼는 미국, 뒷처리하는 유럽

러우전의 모습이 크게 바뀌고 있다. 도네츠크의 격전지이자 가장 중요한 포크롭스크에서 우크라이나군이 함락위기에 몰려있다. 이런 상황에서 서방이 우크라이나에서 아직은 완전히 철수하는 모습은 아니지만, 일단 큰 움직임은 드러나고 있다. 미국의 철수, 유럽은 후속대책 논의, 블랙락의 철수 등을 모습을 살펴본다.1. 팬타곤의 무기 공급 중단 Pentagon halting some promised munitions for UkraineThe decision was driven by the Pentagon’s policy chief, Elbridge Colby, and was made after a review of Pentagon munitions stockpiles.www.politico.com 트럼프 행정부가 ..

러우전 전황 업데이트 20250620

이스라엘-이란 전쟁으로 인해 러우전은 관심이 많이 줄어들었다. 유럽과 미국 모두 우크라이나 보다는 이스라엘을 지원하고 있다. 캐나다에서 열린 G7 정상회담에서도 트럼프는 젤렌스키를 피해서 미국으로 도중에 복귀한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월요일부터 열린 NATO 정상회담에서도 젤렌스키는 사실상 소외될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상황 속에서 러우전의 전황은 어떻게 바뀌고 있는지 살펴본다. 전체적인 상황주공 방향: 동부 우크라이나 - 세부 주공 #1: 하르키프 작전 - 세부 주공#2 ~#3 : 도네츠크 주, 루한스크 주 확보조공 방향: 북부 축선, 남부 축선 동남부 전선 전체에서 러시아군의 전진속도가 활발함. 특히 포크롭스크 남쪽에서는 드니프로페트롭스크 오블라스트를 러시아군이 월경이 확대되고 있음. (* ..

신사임당 채널 출연 영상(update)

6월 10일 신사임당 채널에 출연하여 러우전 관련 질문에 답하는 방식으로 현재 상황을 설명했다. 아직도 많은 사람들로 부터 욕을 먹고 있는데, 어쩔 수 없다. 그래도 사실에 관심 있는 분들이 보시고 생각에 균형을 가지기를 기대해 본다. 나중에 찾기 쉽도록 링크를 걸어둔다. 영상이 업로드 되는대로 업데이트 할 예정이다. (*참고: 썸네일과 내용이 달라서 혼동되시는 분들이 많겠지만, 유튜브 알고리즘을 피하려는 채널측의 방법이 아닐까 생각한다)1부 2부 3부 4부 5부

발틱국가에서 NATO 철수 요구

지난 30년간 NATO의 확장에 계속 반대의견을 제시해왔던 러시아가 러우전의 진행 중에, 러시아가 발틱3국에서 NATO를 철수할 것을 요구했다. 발틱국가에 관한 점이라는 것과 러우전의 종전 조건과 연계됬다는 점, 그리고 소국이지만 발언권을 많이 가졌던 발틱국가의 행태가 변할 것인가에 대한 궁금점, 또 이 내용을 소개하는 우크라이나 언론들의 왜곡된 시각 등이 이 요구를 흥미롭게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러우전이 종전되어도 계속될 혼란 문제에 대해 러시아가 화두를 던지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이 요구내용이 흥미롭다. 아직은 간단한 뉴스의 상태이지만, 이 문제는 앞으로 계속 발전할 문제로 보인다. 본 포스트에서는 2가지 매체의 기사를 소개한다. (해당 매체의 기사 링크와 사진, 그리고 기사내용의 한글 번역보니 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