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전쟁/북한군 우크라이나전쟁 참전 13

북한군 포로 인터뷰 영상에 대하여(수정, 내용 추가)

가능님이 방명록에 남기신 글에 대한 검토 내용입니다. 댓글을 달기에는 다소 길어서 포스팅으로 대체합니다. 글을 남겨주신 가능님의 성의와 열정에 감사드립니다.  가능님의 글교수님 글 잘 보고 있습니다. 북한군 참전관련해서는 포로의 증언이 조선일보로 나왔네요.북한군이 참전한 사실에 대해서는 부정하기 어렵지 않겠습니까?조선일보 공개한 포로 인터뷰 [단독] “北에서 포로는 변절, 한국 가고 싶다" 전장서 붙잡힌 북한군 인터뷰단독 北에서 포로는 변절, 한국 가고 싶다 전장서 붙잡힌 북한군 인터뷰www.chosun.com   [단독] “내가 전쟁터 있는지도 모르는 홀어머니, 모시러 돌아가고 싶지만…”단독 내가 전쟁터 있는지도 모르는 홀어머니, 모시러 돌아가고 싶지만 우크라 포로된 북한군 / 정철환 특파원 인터뷰 2..

북한군 쿠르스크 참전 진행상황 정리

북한군 쿠르스크 참전 보도 순서2014. 10. 18:  국정원, 북한 특수부대 러-우크라 전쟁 참전 확인 보도자료 발표2024. 10. 21: NATO, 북한군 우크라이나 파병은 심각한 분쟁확대라 주장2024.10. 23:   오스틴 미 국방 장관, 북한 러시아 파병 확인2024. 11. 18: 바이든 ATACMS 러시아 영토로 발사 허가에 중요한 원인 제공2024.11.19:    미국무부, 러시아가 북한군을 배치하여 우크라이나 분쟁을 확대했다고 주장20125.  1. 30:    북한군이 갑자기 전선에서 사라졌다. 북한군 쿠르스크 참전 증거와 동기이 같이 비정상적인 미국의 정책변화(2024. 11. 18: 바이든 ATACMS 러시아 영토로 발사) 는 비정상적인 증거가 필요하지만, 미국, 우크라이나,..

국정원의 출구 전략

갑자기 사라진 북한군북한군이 우크라이나 전선에서 사라졌다고 한다. 국정원의 최근 보도이다. 1월 중순부터 안보인다고 했다. 그때는 북한군 300명 사망, 2700명 부상, 김정은 장군 외치며 자폭 시도도 했다고 했다.(1월14일 보도이다. 정확히 1월 중순에 해당한다.) 북한이 러시아에 추가 파병을 준비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고 했다. 국회 정보위원회 간담회에서 보고했다고 정보위 간사들이 말했으니 실제로 보고한 것이 분명하다.   국정원 "1월 중순부터 러 파병 북한군 전투 참여 동향 없어"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오수진 기자 = 국가정보원은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이 전선서 일시 퇴각했다는 외신 보도에 대해 "1월 중순부터 러시아 쿠르스크...www.yna.co.kr 국정원의 출구전략애당초 북한군은 ..

북한군 포로 인터뷰 영상

우크라이나에서 생포한 북한군 2명에 대한 영상이 공개되었다. 2분 내외의 제한적인 영상이지만, 이를 몇 초 짜리 인터뷰 한 커트씩을 해설하는 사람의 말과 자료화면을 섞어 거의 매일 방송에 내보내고 있다. 전형적인 광고기법이다. 북한군 포로라는 것을 매우 팔고 싶어한다. 한 사람은 입을 다쳤고 다른 한 사람은 다리를 다쳤다. 인터뷰 영상에는 입을 다친 사람의 육성은 없었고, 질문에 고개를 흔드는 방식으로 의사를 표현했다. 다리를 다친 사람은 북한 억양의 말을 했다. 북한 사람일 가능성이 있다. 물론 조선족이거나 고려인의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한 사람의 신분증은 투바공화국 출신 것으로 표시되는 낡은 신분증이 있었는데, 인터뷰 때는 그 내용을 러시아어로 적혀 있어서 모른다고 했다.    북한군 ..

북한군 참전설을 만든 목적

북한군 참전설의 부정필자는 북한군의 우크라이나전 참전설에 대해 공개적으로 부정해왔다. 작년 11월 5일과 11월 20일의 유튜브 출연에서 말했고, 본 블로그에서 이글을 포함하면 10번째 관련 글을 포스팅해왔다. 국정원이 공표한 내용을 부인한다는 것은 매우 부담스러운 일이다. 그렇지만, 분석한 내용을 거짓으로 말할 수는 없는 일이다. 그리고 우크라이나전과 관련한 우리나라의 정책방향에서 신중함을 기하기를 바라는 마음도 있었다. 조사를 해보지는 않았지만, 우리나라에서 공개적으로 북한군 참전설을 부인한 사람은 별로 없는 것 같다.  북한군 참전설은 프로파겐다 스턴트국정원이 공표한 것이 2024년 10월 18일이므로 북한군 참전설이 석달을 넘었다. 그동안 서방 언론에서는 단 하루도 북한군 참전설의 보도가 쉰적이 ..

북한군 참전에 관한 미국 국방부의 공식적인 입장 표명

북한군의 우크라이나전 참전은 10.18일 한국의 국정원의 보도자료(국정원, 북한 특수부대 러-우크라 전쟁 참전 확인)에서 처음으로 공식화 되었다. 이에 대해 전세계의 언론들의 퍼나르기 등 확산에 의해 사실로 각인하려는 많은 시도가 있어왔다. 이는 통상적인 프로파겐다 스턴트의 방식이다. 러시아와 북한의 부인은 거짓이라고 낙인하여 사실여부보다는 언론보도 회수로 각인시키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군의 우크라이나전의 참전은 정치적으로는 매우 중요한 사건이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전을 아직도 공식적인 전쟁으로 선언하지 않았다. 선전포고를 낸 것도 아니고, 자신들이 합병한 우크라이나 지방을 수복한다는 명분을 기저에 두고 비군사화 및 비나치화를 목표로 특수군사작전을 시행하고 있다.  그 반면에 NATO를 중..

북한군 참전 증거 모음

1. 북한군 신분증  2. 북한군 참전 소식과 거의 동시에 올라온 북한군 사진  3. 북한은 이제 참전국이다. 그러니 대응이 필요하다."North Korea is now a direct participant in the war. A response of strength and containment is needed, including from Germany. The West must finally take a bold step in providing financial and military support to Ukraine, supplying them with German Taurus missiles and American AGM-158, taking on the air defense of Western..

북한군 참전 증거사진

인터넷에 떠도는 밈  콜린 파월은 흑인 최초의 합참의장(1989-1993)을 했던 사람으로, 1991년 걸프전의 성공과 당시 많은 언론노출에서 절제되고 신뢰성있는 발언으로 그는 매우 인기가 높았다. 대통령감으로 거론될 정도로 전국민들에게 호감을 받는 사람이었다. 오바마의 대선 성공에는 콜린 파월이 미친 영향력이 매우 컸을 것이다. 나중에 조지부시 jr. 대통령의 국무장관이었던 그는 2003년 유엔 안보리에 나와서 밀가루 한 병을 들고 탄저균이라고 말했다. 자신의 인기와 호감도를 이용해 가짜 증거로 세계인들을 속였다. 이 사건을 계기로 이라크전과 관련된 미국인들의 여론은 전환점을 맞게 된다. 후일 그는 거짓임을 알고 있었다는 것을 실토하였다.   이런 멀쩡한 자들도 알고보면 모두 네오콘의 꼭둑각시이다. 이..

영국 Daily Mail의 가짜 기사 소동

국정원발표10월 18일  국정원, 북한 특수부대 러-우크라 전쟁 참전 확인 이라는 보도자료를 낸 즉시 이 문제를 분석한 바 있다. 10월 19일 북한군의 우크라이나 전선 파견 뉴스 분석에서 필자는 이것이 논리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이유를 설명한 바 있다. 그 이후에도북한군 파병에 관한 미국의 공식적 발표 #1북한군의 크루스크 참전 내러티브 북한군의 우크라이나전 참전이라는 거짓말 등을 포스팅하여 후속해서 이것을 설명한 바 있다. 이뿐 아니다. 수만명이 시청한 프로그램에서도 공개적으로 우리가 미국의 네오콘에 말려든 것이라는 논조로 분명하게 밝힌 바 있다.  웅달책방에 출연하여 이것을 설명한 바 있다.  815머니톡 출연영상(14분부터)에서도 동일한 주장을 한 바 있다. 방구석에 앉아서 2차 자료들을 가지고 분..

북한군의 우크라이나전 참전이라는 거짓말

10. 15일 우크라이나의 suspline에서 시작되어, 미국의 ISW와 우크라이나 프라우다를 거쳐, 국정원이 발표한 북한군의 우크라이나전 참전 소동이 이제 1달이 넘어가고 있다. 아직도 북한군의 참전 증거를 내놓지 못한 가운데, 전 세계 언론은 북한군 참전을 기정사실화하고 있고, 진원지인 우크라이나에서는 매일 같이 증거와 무관한 동영상에 북한군 참전 자막을 달아서 퍼뜨리고 있다. 이미 북한군의 우크라이나 전선 파견 뉴스 분석, 북한군 파병에 관한 미국의 공식적 발표 #1,  북한군의 크루스크 참전 내러티브 등세 차례에 걸쳐서 포스팅한 바 있는 내용이지만, 지난 주 한 유튜브 채널에 나와서 그 이유를 설명하였다. 어눌한 말쏨씨이지만, 그래도 글을 읽는 것보다 설명을 듣는 것이 쉬운 분들을 위해 영상을 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