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파키스탄 분쟁 3

파키스탄과 미국의 관계

현재 파키스탄과 중국의 CPEC과 과거 오랫동안 중국-파키스탄의 군사기술 지원 등의 사례를 들어 파키스탄과 미국의 관계가 나쁠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국제관계는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 중국과 인도가 BRICS에 같이 가입해있지만, 국경분쟁 등의 역사적 문제도 있었고 경쟁관계도 있으므로 중국-파키스탄의 사이가 좋아진 면도 존재하지만, 그렇다고 편을 명확하게 가를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1. 미국 파키스탄 관계의 역사냉전시대: CENTO, SEATO 가입일단 미국과의 관계를 설명하면, 파키스탄 독립 직후인 50년대 부터 냉전 기간 내내 미국은 파키스탄을 소련에 대항하는 전략적 파트너로서 반공 진영에 포함시켰다. CENTO(Central Treaty Organization, 중앙아시아 조약기구, 미..

인도 파키스탄 사태, 또 다른 대리전의 시작인가?

지난 포스트 인도 파키스탄 사태 에서 처음으로 카슈미르 테러사건을 둘러싼 양국의 긴장고조 등의 문제를 다루었다. 포스트의 3부에서는 필자의 상상력의 세계에서 자유롭게 3차대전의 가능성을 언급한 바 있다. 물론 아직은 아무런 증거도 없지만 며칠간 언론에서 다루는 내용을 보니 약간 더 심증이 늘어간다. 그 내용을 설명해본다.카슈미르 테러 공격은 단순 국지 분쟁이 아니다카슈미르에서 발생한 테러 공격은 피상적으로는 인도와 파키스탄 간의 분쟁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 사건은 범서방Combined West과 범남방Global South 두 개의 세계적 세력 블록 간 대리전(proxy war)의 서막 처럼보이기 시작했다. 범서방은 미국 중심의 패권 블록이며, 범남방은 브릭스(BRICS) 중심의 신흥 다극 체제다. 브릭..

인도-파키스탄 사태

파키님이 댓글로 질문해셔서 아직 정리가 되지 않았지만, 필자의 생각을 피력해보겠다. 주류언론은 물론이고 지정학자들이 거의 아무도 다루지 않는 사항이므로 매우 실험적인 견해라는 말씀을 먼저 드린다. 따라서 아직은 확인이 필요한 사항이라고 생각하셔야 하며, 그만큼 자유롭게 말씀드린다.1. 듣는 대로 보는 대로의 이야기사건의 개요언론에 보도된 사항이라서 상세한 것을 생략하고 요지만 말씀드리면, 현지시각 4월 22일 카슈미르 지역에 온 인도 관광객에게 이슬람 테러리스트가 할례여부와 꾸란을 암송하라고 해서 못하면 사살했다고 한다. 피해자가 최소 26명이라는 보도가 있었다. 인도의 반응이에 대해 인도는 즉각적으로 파키스탄 내 테러 조직을 타격하겠다고 시사하였고, 외교관을 추방하고, 인도-파키스탄 간의 교류를 차단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