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입장 변화
더 이상 우크라이나-러시아 협상의 중재자 역할을 하지 않겠다고 미국 백악관은 선언했다. 단순한 군사적, 경제적 지원은 지속하되, 중재적 개입은 중단하겠다는 것이다. 미국의 이 발언은 중립 선언인지 혹은 책임 회피인지 불분명하며, 모순적이기까지 하다.
트럼프는 이 전쟁이 바이든이 일으킨 전쟁이며, 미국이 우크라이나를 대리로 러시아를 향해 일으킨 전쟁이며,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에게 도발했다는 말을 해왔다. 즉, 미국이 러시아에 대한 전쟁 당사자임을 여러 차례 강조해왔던 것이다. 그러니까 지난 100 여일 동안 해왔던 어색한 중재자 역할은 그만하겠다는 것이면, 이제 전쟁 당사자로 돌아가겠다는 것이어야 한다.
그이외의 남은 길은 중립이 있다. 그런데 중립이려면 군사적, 경제적 지원을 중단해야 한다. 중단한다는 말은 하지 않았고 계속하겠다는 군사적, 경제적 지원 앞에 '단순한' 이라는 수식어를 붙였다. 즉 '복잡한' 군사적, 경제적 지원은 하지 않고, '단순한' 지원은 계속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중립은 될 수 없고, 전쟁 당사자이기는 하지만, 좀 수준이 낮아진 당사자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 말을 정리하면, "미국은 2025년 5월 2일부터 러시아에 대한 우크라이나 대리전의 저수준 당사자가 되겠다." 는 선언을 한 셈이다.
이 선언이 논리적으로 성립하려면 '다른 수준'의 당사자가 있어야 한다. 우크라이나가 고수준의 당사자임은 분명하니까, 그 자체로 성립하지만, 지난 3년여 라는 시간의 맥락을 보면, 유럽(NATO-미국)에 대해서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아마도 유럽이 고수준의 당사자가 되는 것을 예상할 수 있을 것 같다. 이상을 종합하면, 이제 미국은 저수준의 당사자로 남을 터니, 유럽과 우크라이나가 알아서 높은 수준의 당사자가 되어라는 뜻일 수도 있다.
간결하게 그림으로 정리를 시도해보면 대략 아래와 같다. 첫번째 구도는 2022년 ~ 2025년 1월 19일 까지를 말하고, 두번째 구도는 2025년 1월20일 ~ 2025년 5월 1일 까지의 시도했던 구도를 말하는데 실제로 이 시도는 실패로 끝났으므로, 2025년 5월 2일 부터는 세번째 구도로 가져 가겠다는 의사를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과연 그런 뜻인가?
한편 독일 총통예정자인 Merz는 "무력에 의해 만들어진 상황을 강요한 평화나 이에 대한 수용은 키예프에 대한 유럽의 지원과 모순되며, 특히 그것이 우크라이나 자체의 분명한 의지에 반하는 경우 더욱 그렇다." 라고 말했다. 강요된 평화라는 표현을 썼는데 1945년에도 서명한 그것이 연상되는 말이다. 독일은 확실히 1945년이전으로 복귀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한 것으로 보인다. 평소에 냉철한 판단을 하는 것이라는 평가가 있는 독일국민의 집단 지성은 어떤 시기를 맞으면 집단으로 광기를 보이는 것 같다. 마치 아프리카 메뚜기들이 가뭄을 맞으면 완전히 이상하게 변하는 것과 같은 것일까?
전황 요약
포크롭스크 지역: 가장 큰 변화, 우크라이나군에게는 엄청난 압력
지난 3-4개월 이상 정체를 보였던 포크롭스크 지역에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했다. Nova Alexandrivka (아래 그림 파란색 원 부분)에서 러시아군이 2~3개월 전부터 교전 중이던 지역의 동부 진입 성공했다. Pakovsk 시내 남부(아래그림 노란색 원 부분)에는 러시아군 정찰 및 특수부대가 일시 침투한 정황 확인, 현재 해당 지역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모두 명확한 통제권이 없다고 판단되지만 (회색지대). 계속해서 Zilonovka 지구: 우크라이나군이 건물 폭격을 통해 러시아 특수부대를 제거했다는 주장과 영상이 올라오고 있다. 따라서 향후 며칠간 해당 시가지의 통제권을 둘러싼 결정적 전투가 예상된다. 이 지역은 그동안 러시아군이 포크롭스크(노란색 원으로 부터 시작되는 넓은 시가지)을 포위를 시도하고 있었으나, 우크라이나군이 여단 11개를 투입하여 러시아군의 서쪽 포위망(빨간 화살 방향)을 차단하는 작전을 시도해왔다. 그런데 차단 방향(하늘색 화살표 방향)의 양극단을 러시아군이 돌파하기 시작했다는 의미가 있다. 따라서 러시아군의 포위 작전이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군이 단번에 진출하는 것은 어렵고, 돌출부 오른쪽 아래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포크롭스크로 진출하는 철로에 대한 통제권을 확보하기 위해 최소한 며칠간의 작전이 필요할 것이다.
포크롭스크 동쪽 포위망
러시아군이 동쪽에서 Malininovka 방향(노란 원 지역) 마을에 진입 중이다. 일부 장갑차량은 우크라이나군의 매복에 의해 파괴되었으므로 확실한 진입 여부는 불명확하나, 북쪽 Tarasafka 지역(파란 원 지역)은 러시아가 명확히 돌파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 Novalanovka 마을(왼 화살표 방향)에서는 러시아 모터사이클 부대가 30% 이상 점령 중이며, 우크라이나군의 퇴각이 발생하는 중이다. 러시아군이 후방 우회 공격 가능성이 생기는 중이다.
Zarya 지역 및 북동부 확대(오른 화살표 방향)
러시아군이 Alexandra 마을 진입 시작, 국방부 차원의 공식 점령 발표는 아직 없으나, 향후 Zarya 마을 전체와 주변 마을의 방어선 붕괴 가능성 높다.
광산 지역 및 Kiban 방향
러시아군이 광산 시설(노란 원 지역)을 점령했으며, 우크라이나의 반격은 실패한 상태이다. 광산 북부 및 서북부에 대한 정보는 불충분하나, 러시아 통제권 점차 강화 중이다. Kiban 북쪽 포위망 형성 중이다.
Chesvar 북부 방향
러시아군은 북쪽 Seversky Donetsk 운하(작은화살표로 그린 원 아래 흰색 선)를 넘어 Grifka 서쪽으로 진출 중이다.우크라이나군의 반격은 제한적이며, 러시아군이 운하 너머로 진출할 경우, 중요한 전략적 진입로 확보 가능하다.
Tarskoya 및 Bilavod 방향
Tarskoya 마을(노란 원 내 5시 방향)의 절반 정도(50%)를 러시아군이 장악한 것으로 추정된다.
수미지역
쿠르스크 작전의 연장선 상에서 완충지대를 확보하기 위한 작전을 수행 중이다. Bilavod 마을(왼 화살표 방향)은 75% 이상 러시가 점령 중이며 남동쪽 구역만 남아 있다. 러시아군이 북서·북·북동 방향에서 Yakivka 접근 중에 이어서 Yakivka(3방향 화살표가 만나는 지역)의 전투가 임박한 상태이다. 아마도 전승절인 5월 9일 이전에 전투 개시 가능성 높아 보인다.
'우크라이나 전쟁 > 우크라이나 전쟁 바로 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 30일 (8) | 2025.05.01 |
---|---|
쿠르스크 작전 결과 (2) | 2025.04.29 |
제라시모프의 북한군 참전 인정으로 유추할 수 있는 점들 (8) | 2025.04.27 |
러우전 전황 update 2025-04-23 (0) | 2025.04.25 |
신사임당 출연영상 #3 (1)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