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력 비교

러시아의 방공전력과 미사일 기술

진재일 2025. 1. 3. 01:37

작년 12월 20일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ATACMS와 스톰쉐도우를 이용한 Kursk 지역 공격에 대한 보복으로 키에프의 작전지휘부와 미사일 개발 센터를 타격했다. 서방의 뉴스에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는 이 공격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현재의 러시아의 미사일 기술과 미사일 및 대공방어에 대한 수준이 미국에 비해 얼마나 큰 차이가 나는지를 알 수 있다.

 

러시아의 방공능력

 

역사적으로도 그리고 현재능력에 있어서도 방공능력에 관한 한 러시아가 미국보다 훨씬 앞선다. 우선 배경을 살펴보면, 2차대전의 종전과 함께 냉전이 시작될 당시 항공기의 능력은 미국이 앞서 있었다. 당시 소련은 미국의 항공기에 의한 핵공격을 염려하였다. 미국의 항공기 특히 폭격기에 원자탄을 달아서 모스코바를 공격하는 경우,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장 큰 과제였고, 스탈린의 지시에 의해 지대공미사일(SAM)인 S-25 Berkut를 개발한다. 이후 급속도로 발전하였다. 현재는 S-400과 S-500을 실전배치하였다. 여기서 지루하게 역사를 강의할 생각은 없다. 그러나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것은 방공능력에 관한한 미국과 서방전체는 러시아에 비해서 몇 세대 뒤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것은 미국의 방공능력의 개발방향이 매우 잘 못되었기 때문이다. 이 부분은 심도깊은 논의가 필요하므로 다음 기회에 자세히 논하기로 하고, 이 포스팅에서는 최근에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교환한 공격과 대응의 결과로서 실제로 어떤 능력의 차이가 나는지를 통찰해보기로 하자.

 

ATACMS, 스톰쉐도우 공격

 

몇 달 동안의 Escalation 소동 끝에 지난해 11월 20일부터 우크라이나는 ATACMS와 스톰쉐도우를 이용하여 Kursk와 Bryansk 지역을 공격하였다. 러시아는 이 미사일들을 대부분 요격하였다. 요격을 피하거나, 요격을 당한 미사일이 낙하하면서 미친 피해가 있었고, 사망자를 낸 경우도 있었지만, 피해는 경미한 수준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런데 우크라이나가 공격을 한 곳은 러시아의 외딴 곳이었다. 즉, 인구밀집지역이나, 군사적으로 고가치 표적(High Value Target)이 아닌 곳을 공격한 것이다. 그 이유는 고가치 표적 근처에는 러시아의 미사일 방어망이 잘 방호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우크라이나는 요격을 당하지 않을 곳, 즉 러시아의 약점을 찾아서 공격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은 애초부터 군사적 공격이 아닌, 정치적 공격, 즉 러시아의 보복을 유도하여 전쟁을 Escalation할 목적으로 한 공격으로 봐야한다. 

 

러시아의 보복공격

 

이에 대해 러시아는 보복공격으로 키에프를 선택했다. 키에프의 작전 지휘센터와 미사일 개발 센터를 타격한 것이다. 이곳은 우크라이나에서 가장 중요한 곳으로 이를 보호하기 위해서 방공망이 밀집된 곳이다. 우리나라의 용산 정도로 생각하면 될 것이다. 이곳에 이스칸데르와 킨잘(사용여부는 불확실하나, 일부 사용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로 타격하였는데, 심하게 파괴되었다. 즉,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고가치 표적에 대해서 공격한 것인데, 우크라이나는 밀집한 방공망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1-2발은 제외하고 요격에 실패한 것이다. 조 단위의 비싼 패트리어트 포대도 있었는데, 이를 뚫어버린 것이다. 미군은 이에 대해 별로 보도하지 않고 있다. 이는 심각한 심리적인 패배의식을 느끼고 있음을 암시한다. 러시아의 미사일 능력에 대해서 모르고 있었으면 아마도 놀라서 약간의 보도가 있었겠지만, 능력을 잘 알고 있었던 터라서 더 이상 말을 해봐야 해결책이 없는 상황이니까 보도 자체를 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이로써 지난 9월부터 11월 말까지 언론에서 뭔가 대단한 게임체인저인양 떠들었던 ATACMS와 스톰쉐도우 등은 non-factor로 정리되었다. 영국축구에는 "벤치에 있을 때가 가장 무서웠다."라는 표현이 있다. 유명한 선수가 교체멤버로 출전하여, 활약상이 미미할 때 하는 표현이다. 지금의 상황에 꼭 맞는 표현이다. "ATACMS와 스톰쉐도우는 사용하기 전이 가장 무서웠다."

 

적응력의 차이

 

ATACMS/스톰쉐도우가 처음부터 무능한 무기가 아니었다. 처음 전장에 들어올 때는 상당히 정밀한 위력을 발휘했었다. 그런데, 러시아군은 새로 등장하는 무기에 대해 2주안에 프로파일을 완성하여 4중 정도 내에 대응책을 내놓는다. 그다음부터 그 무기는 무용지물이 되어 버린다. 트럼프 2기 정부의 군사력 건설 방향과 시사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엑스컬리버 유도 포탄, HiMARS, JDAM, GSDB 등 많은 무기가 비슷한 과정을 겪으면서 전장에서 사라졌다. 

 

그런데 뒤집어 생각해보면, 러시아의 무기들은 왜 같은 과정을 보이지 않는 것일까? 이스칸데르, 킨잘 등 러시아의 미사일에 대해서 우크라이나는 왜 계속해서 아무런 대응을 하지 못할까? 아래의 슬라이드는 위의 글에 개재한 것이다. 거의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장면에서 반드시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은, 미국과 서방이 정치, 경제, 군사적으로 총력을 다해서 싸우고 있다는 사실이다. 전쟁이 이정도 지났으면, 군에서 사실에 근접한 보고를 한지 오래되었음을 짐작할 것이다. 그럼에도 정치권에서 수용하지 않는다면 군에서도 어쩔 수 없을 것이다. 서방에서 객관적으로 밝힐 수 없는 불편한 진실은 그들의 현대전에 대한 적응성도 매우 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러시아는 6주~8주 만에 대응책을 만들지만, 미국은 6~8개월은 물론이고 2년 10개월이 지나도 전혀 대책이 없는 상태이다. 이것은 미군의 기초 실력과 적응력 모두가 상대적으로 떨어짐을 말하는 것이다.

러우전에서 드러난 우크라이나의 미사일 방어의 문제점

 

S-400과 THAAD의 비교

 

THAAD의 배치를 둘러싸고 홍역을 치른 적이 있지만,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THAAD가 위력적인 것은 맞다. 그것은 우리가 보유하고 있지 않는 방공능력을 THAAD가 보완해주기 때문이다. 그런데 THAAD가 S-400과는 어떻게 비교될 것인가? 성능을 방증하는 여러가지 증거들은 존재한다.

 

인도와 터키가 중요한 사례를 제공하고 있다. 인도와 터키 THAAD 판매를 미국에 요청했지만, 미국에서 판매를 거부했다. 인도는 러시아의 S-400을 도입을 시도하였다. 그래서 인도군인들이 러시아에 가서 교육도 받는 등 계약을 위한 절차가 진행되자, 미국에서는 THAAD의 판매하겠다고 했다. 그런데 이번에는 인도가 거부했다. 결국은 S-400을 계약했고 2025년이면 5세트 중 마지막 2세트를 배치완료하게 된다. 터키는 S-400 구매계약을 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구매하지 말라면서 F-35의 판매와 라이센스 생산을 하지 못하게 하겠다고 했다. 협박에도 불구하고 S-400을 구매하고, F-35 공동개발국에서 탈퇴하게 된다.

 

당시 관찰하던 국가들은 터키가 현명하지 못한 선택을 한 것으로 생각했지만, 2024년 10월 26일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시 F-35의 무능함이 드러나자, 생각이 바뀌고 있다. 이스라엘의 F-35는 이라크 공역에서 이란으로 접근하자, 이란의 레이더에 F-35가 락온이 되어서 다시 되돌아 갔다고 한다. 이란 측에서 흘러나온 루머로 보이는데, 전문가들은 대체로 공감하고 있다. 그런데 이란은 S-400은 없고, S-300을 배치해두고 있다. 아마도 자체적인 방공능력이 아닐까 추정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다. 

S-400 체계: 다양한 체계로 다양한 위협에 대응하도록 구성되어있다.

 

말이 좀 길어졌지만, 다시 THAAD로 돌아가자. THAAD는 종말단고 고고도 요격체계이다. 탄도미사일에 대해서 사용할 수 있고, 고고도에서 대응할 수 있다. 즉, 탄도가 아닌 순항미사일이거나, 저고도로 들어오는 미사일에 대해서는 요격할 수 없다. THAAD가 위력적이기는 하지만, 한정된 영역에서의 이야기이다. 그런데 S-400은 항공기, 순항미사일, 탄도미사일, 고고도, 저고도 등 다양한 위협에 대응할 수 있다. 즉 매우 실전적이다. 향후 드론과 순항미사일, 항공기, 탄도미사일의 조합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공격을 해올 것여, THAAD는 대응할 수 없지만, S-400은 모두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가격도 더 저렴하다. 그러니 S-400이 잘 팔린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서방은 사고 싶어도 살 수도 없다. 참고로 우리가 수출하는 천궁-2는 러시아의 S-350이 원천 기술이다. 만약에 미국의 패트러어트를 원천기술로 삼았다면, 아마도 아직도 개발하지 못하고 있을 수도 있으며, 앞으로도 확장성이 없을 것이다. 방공 및 미사일 방아에서 러시아의 기술을 도입한 것은 우리에게는 행운이다. 

 

THAAD 체계: 매우 좁은 범위의 임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러시아 방공능력의 위력과 미국의 해·공군이 처한 문제

 

미군이 처한 문제는 매우 심각하다. 러우전에 진행되는 동안 수도 없이 등장한 미국의 게임체인저들은 추풍낙엽처럼 다 사라져갔다. 게임체인져를 논하는 사람은 더 없다. 그런데 이상하지 않은가? 미국은 F-35를 왜 투입하지 않는가? F-35를 사용하는 유럽국가는 벨기에, 덴마크, 이탈리아, 네덜란드, 노르웨이, 폴란드, 영국, 독일 등 수도 없다. 스텔스기인 만큼 F-16보다 더 조종하기가 쉬울 것이다. 그런데 왜 투입은 커녕, 말도 꺼내지 않는 것일까? 2조 달러 이상이 투입될 것으로 예상되는 F-35는 중국의 방공망과 러시아의 방공망은 물론이고 이란의 방공망도 통과할 수 없다. 이스라엘, 폴란드, 독일의 지상기지나, 항공모함과 강습상륙함에서 발진하는 3가지 모델 모두, 방공망에 무용지물일뿐더라, 지상기지, 항공모함, 강습상륙함 모두가 극초음속미사일의 표적이 될 뿐이라면, 대규모의 전쟁은 아예 생각조차 할 수 없다. 미국의 항모들이 대만해협 근처에서 F-35를 발진시키려 할 때, 중국의 YJ-21 몇 발이면, 항모와 강습상륙함은 좋은 표적이 된다. 혹 살아남더라도 함재기들은 S-400에 요격된다. 

 

그런데 이것이 다가 아니다. 3-4년 전부터 실전 배치한 S-500은 가공할 능력을 보이고 있다. 기존의 능력을 모두 갈아치운 것을 물론이거니와 스텔스 전투기는 물론이고, 마하 20으로 비행하는 10개의 탄도미사일을 동시에 탐지하고 교전할 수 있다. 그리고 200km 상공에 있는 위성을 요격할 수 있다. 미국은 아직 극초음속 미사일도 실전배치하지 못하고 있는데, 미국이 미래에 배치할 수도 있는 극초음속미사일도 다 요격할 수 있다. 

 

항공력의 종말

 

좀 도발적인 소제목이지만, 기술의 발달이 전장을 변화시키는 속도가 얼마나 빠른지, 적응하기 힘들 정도 이다. 러우전을 통해서 대규모의 기동은 사실상 불가능한 시대에 접어 들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물론 전쟁은 상대와 환경에 따라서 달라지므로 하나의 현상이 미래를 어떻게 결정할런지는 속단할 수는 없다. 그러나, 적어도 C4ISR이 발달한 전장환경에서 대규모 기동은 대규모 표적을 제공할 뿐이다.

 

더 나아가서 항공력도 원치 않는 변화를 거쳐야 할 때까 되었다. 통합방공망이 없는 전장에서의 항공력은 아직도 엄청난 위력을 발휘한다. 러우전과 시기가 겹치는 2023-2024년에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와 레바논을 공습으로 쑥대밭을 만드는 것은 엄연한 현실이다. 그러나 구소련제 S-300이 작동하던 우크라이나 공역에서는 러시아의 항공기조차도 조심하여 폭격임무를 수행하였다. 대부분은 장거리 투발수단을 사용하여 표적의 10~20km 전에서 할공폭탄을 사용하거나, 공대지 미사일의 경우는 더 멀리서 발사하였다.

 

70-80년대 전투기 조종사들만해도 대공미사일이 락온을 했다는 RWR(Radar Warning Reciever)의 경보가 잡히면, 비록 30초 정도의 진땀 나는 순간이지만, 그래도 숙련된 조종사들은 대공미사일을 회피할 수 있었다. 그러나 현대의 대공미사일은 훨씬 정교하고, 훨씬 빠르므로 전투기조종사들이 피하는 것은 능력 밖의 일이다. 그래서 점차 standoff 능력이 중요해지고 있다. 통합방공망이 작동하는 공역으로 진입하는 항공기 조종사들은 SAM, AAM 등 각종 미사일들의 표적이 된다. 미국의 공대공미사일이 최대 160km인데 비해, 러시아의 공대공미사일은 200~400km 인 미사일도 있다. 전자전기, 조기경보기, 공중급유기 등 속도가 느린 지원기들은 공역 밖에서 작전을 해야할 것이다.

 

후티 반군은 3400만 불짜리 RQ-9 리퍼를 14대 째 격추했다고 한다. 2023년 11월 부터 라고 하니까, 1달에 1대씩 격추한 셈이다. 후티 반군을 처리하지 못해서 항공모함이 벌써 5척이나 작전하였는데, 그중에 적어도 2-3척은 쫒겨나갔다. 심지어는 우군사격에 함재기가 격추되는 웃지 못할 일도 발생하고 있다. 그런데도 후티에게 제대로 공격다운 공격도 못하고 있으며, 수에즈 운하의 사용은 제한되어, 희망봉을 돌아가는 선박들이 많다. 바브엘만데브 해협에서도 그러할진데, 대만해협에서 항행의 자유작전과 같은 작전이 가능할지 상상이 되지 않는다.

 

미군의 미래

 

항모가 무기력하고, 함재기가 변수가 되지 않으며, 적대공역에서 작전이 제한되는 것이 현실이라면, 그 같은 환경에서 전쟁을 해야 하는 상황에 던져지는 미 해군과 공군은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 현재의 기술적인 상황은 몇 년 안에 어떻게 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다. 몇 세대 뒤쳐진 상황이다. 그리고 산업생산능력은 2008년 이후 16년째 제자리를 맴돌고 있다. 그러니 생산능력도 되지 않는다.

 

미국의 산업생산능력 전체 지수: 2017년 기준(2017=100, 계절조정)

 

어떻게 하다가 이런 지경에 이르렀을까? 정말 미국의 군사력에 대해서 고민하는 사람들이 있다면 잠 못 이룰 것이다. 그런데, 미의 수뇌부는 태연하다. 왜 그럴까? 현실을 말하면 개인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정치인들이 좋아하는 말만하다가 여기까지 왔는데, 이제 사실을 말하는 것은 내가 책임을 지는 것과 같다. 즉 지금의 상황은 폭탄돌리기와 같은 것이다. 내 차례만 넘기면 된다. 트럼프의 측근들도 헛소리를 하고 있다. 이는 미국의 정보부서와 군이 계속해서 허위보고를 해왔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누구도 나서서 해외에 있는 수백개의 기지에서 철수해야 한다고 말하는 사람이 없다. 

 

제국의 종말

 

전쟁은 모든 것의 아버지라는 말이 있다. 전장에서 나타난 현실은 아무리 아파도 새로운 출발을 하게 한다. 나폴레옹이 촉발한 예나 전투에서 프로이센 군은 큰 피해를 입고, 괴멸당해 프로이센의 모든 영토가 프랑스군에게 제압당했다. 이를 통해 프로이센 군은 개혁을 하게 된다. 월남전 이후에 거의 모든 전쟁에서 미군은 승리한 적이 거의 없다. 러우전은 미국의 상처에 소금을 바르는 고통이다. 그런데도 변화를 하려고 시도하지 않는다면, 더이상 미국의 군사력은 외교를 선도할 수 없다. 미국은 아직 자국이 공격을 받은 일이 매우 예외적인 경우이므로 전쟁이 자기 땅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생각도 못할 것이다. 그러나, 그런 시대는 이미 지났다. 미군은 이미 돈만 축내고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2~3류 군대가 된 것이다. 여기에 변화하려는 의지까지도 없다면, 제국을 뒷받침할 힘은 이미 존재하지 않는다. 현명한 사람들은 제국의 종말을 예상하고 준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