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전쟁/우크라이나 전쟁 바로 알기

러우전 미스테리#1, 2022년 케르손 전투(추가정보)

진재일 2025. 3. 25. 04:16

승리의 시작

2022년 여름 우크라이나는 승기를 잡았다고 생각했다. 젤렌스키는 "우리는 이기는 방법에 대해서만 생각할 수 있고 생각해야 합니다"라고 국민들에게 연설했다. 서방 언론들은 그의 연설을 퍼날랐다. 나름 전문적이라고 하는 Foreign Policy에서는 우크라이나가 승리하면, 동유럽이 해방된다고 말했다. 

 

그해 12월 21일 젤렌스키는 미국 의회를 방문하여 소위 역사적인 연설을 한다. 이후 탄력을 받고 고무되어서 2023년에는 소위 여름 공세를 시작한다. 그리고 실패했으며, 한달여 만에 금방 패배가 명확해졌다.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났던 것일까?

 

2023년 여름 공세 한 달여만에 패배를 직면한 우크라이나와 서방에 대한 텔레크래프 헤드라인

 

도대체 그 사이에 무슨 일이 일어나서 승리에서 갑자기 패색이 짙은 일이 벌어졌을까? 서방언론은 현재까지도 이에 대해서 제대로 보도하고 있지 않다.  

 

수로비킨 라인으로의 헤르손 철수

 

아래의 동영상을 돌려보면, 헤르손에서 러시아군은 마지막 2일 동안 갑자기 모세가 홍해를 건너는 것 같이 러시아군이 드네프로간을 건너 철수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독자여러분은 마지막 2일을 주목하면서 꼭 플레이 해보시기 바란다.  이 말도 되지 않는 이상한 전선이동을 아직 어디에서도 설명하지 않고 있다.

 

헤르손에서 일어난 일에 대한 좀 구체적인 설명

몇몇 유튜버들은 전략적인 의미와 전술적인 의미를 곁들여서 케르손에서 일어난 일을 설명한다.

 

위의 동영상 내용 설명(번역)

헤르손 전투는 우크라이나의 정치적 승리였지만, 모두가 바라던 것처럼 군사적 승리는 아니었다. 남부 항구 도시 헤르손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모두에게 매우 중요한 도시이다. 러시아는 침공 초기에 문자 그대로 우크라이나 남부를 가로질러 번개 같이 휩쓸어 헤르손을 점령했다. 따라서 헤르손은 마지막까지 줄곧 러시아의 손에 있었다. 

 

헤르손 근처에는 댐이 있다. 이 댐과 Nova Kakhovka가 공격을 받았다. 이 댐은 크림 반도 전체에 물을 공급하는 담수 운하의 진입 점인 통로이므로 매우 중요하다. 댐을 소유한 쪽이 크림 반도에서 에서의 활동을 통제하기 때문이다. 우크라이나는 헤르손에서 상당한 진전을 이루고 있다고 믿고 있다.

 

수로비킨 사령관은 쇼이구 국방부 장관에게 “현재 상황으로는 헤르손 시와 주변 정착촌에 충분한 공급이 불가능하며 운영할 수도 없습니다.” 라고 보고했고, 이 내용은 공개되었다.

 

러시아군은 당황하지 않았다. 러시아군은 순조롭게 퇴각했다. 러시아군이 항복하지 않았다. 그들이 대량으로 항복했다면, 완전한 참패가 되었을 것이고 아마도 전쟁이 끝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러시아군의 순조로운 퇴각은 우크라이나인들을 경계하게 만들었다. 우크라이나군은 함정에 빠질까 걱정하면서 서두르지 않고 조심스럽게 진격했으나, 결국 러시아군은 드니프르강 근처에 있는 신중하게 준비된 진지로 퇴각하여 스스로를 요새화했다. 결국 모두가 생각했던 것처럼 러시아군이 완전히 파괴된 그런 우크라이나의 군사적 승리는 없었다. 러시아군은 전혀 파괴되지 않았고 그냥 이동했을 뿐이었다. 그냥 뒤로 철수한 것이었다.

 

이제 이 다음 단계는 실제로 우크라이나 전쟁의 결정적인 전투 중 하나가 될 것이다. 푸틴이 하려는 것은 기본적으로 우크라이나인들이 지금 1센티미터의 땅도 힘들게 싸워서 차지하게 만드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것은 그들을 정말 어렵게 만들고 계속 후퇴하는 것이 문제가 될 것이지만, 아주, 아주, 아주 천천히 그렇게 해서 우크라이나인들이 결국 스스로를 지치게 하고 협상 테이블로 나오기를 희망했다.

 

크림 반도의 목의 다가오는 겨울에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싸워야 할 이 지역에 대한 다가오는 전투는 이 전쟁의 결정적인 전투 중 하나가 될 것이다.

 

2022년이 지난 뒤부터 우크라이나는 몇 번의 전투에서 승리하였을까? 

정답은 0이다.  솔레다르 전투, 바흐무트 전투, NATO가 훈련하여 준비한 2023년 여름공세, 마린카 전투 등 2023년 한 해는 모든 전투에서 러시아가 승리하였다. WSJ은 머스크, 미국 경제, 테일러 스위프트와 함께 푸틴을 2023년의 승자로 지명했다.

 

2022년 11월 11일 러시아군의 철수 발표

 

이틀 전인 11월 9일에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장관은 수로비킨 총사령관에게 드니프로강 동안으로 철수명령을 내린다. 

 

전쟁사 최고의 작전, 이틀 만의 완벽 철수

그리고 이틀만에 러시아군은 철수완료를 발표한다. 정말 놀라운 것은 철수 명령 하달 시점에 디네프르강 서안에는 러시아군이 2-3만명 정도 있었고, 수천 점의 장비가 있었다는 점이다. 미군 고위장성과 우크라이나국방장관까지도 한결 같이 최소 1주일~수주일이 소요될 것이라고 예상했는데 이틀만에 완료했다는 점이다.  그것도 건널 교량이라고는 HiMARS에 의해 심하게 파괴된 안토니프카 다리 하나밖에 없는 상황에서 철수했다는 것이다. 

 

철수완료를 발표하는 러시아국방부 대변인 동영상 캡쳐

 

 

철수전 전투 상황

철수 전 드네프로강 서안의 전투에서 러시아군은 우크라이나군을 심하게 타격하였다. 증언에 따르면, 러시아군과 우크라이나군의 손실교환비는 5:1 수준으로 러시아군이 압도적이었다고 한다. 즉, 러시아군은 전세가 불리해서 후퇴한 것이 아니었다. 

"러시아군 한명당 우크라이나군 5명을 잃었다"고 30세의 소대장 이호르는 말하는 WP 기사

 

러시아군의 후퇴이유는 우크라이나의 반격에 대비하여 러시아군의 피해를 방지하고, 전략도시 헤르손에 보급선의 유지하기 힘든 사정을 고려한 것이라고 러시아군 고위관계자가 말했다. 현재까지 헤르손 철수에 대해서 가장 잘 설명한 것은 알자지라 기사이다. 링크를 걸어두었으니 상세한 내용에 관심 있는 독자들은 꼭 읽어보시기 바란다. 

2022년 7월 22일 HiMARS에 의해 포격당한 안토니프카 브리지, 러시아군은 바지선을 사용해서 도하 후퇴했다.

 

러시아군의 철수는 전략적 승리

즉 러시아군이 철수한 것은 패배가 아니라 승리한 것이다. 즉 전략적인 측면에서 볼 때, 반드시 점령해야 할 땅이 아니면 내주는 것이 희생을 줄이는 것이므로 성공적인 철수는 전략적인 승리이다. 이를 반대로 생각해보자, 만약 후퇴를 하지 않았다면 드네프로강의 반대쪽에 머물면서 우크라이나군에게 포위당하여서 희생당했을 수 있다. 이 경우 큰 패배를 하게 되는데, 이를 손실없이 후퇴했다면 전략적인 승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어떻게 철수를 할 수 있었을까?

가장 큰 의문은 어떻게 우크라이나군의 포격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2-3만명의 병력과 5천점 이상의 중장비를 단 이틀만에 아무런 피해 없이 철수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현재까지도 헤르손에서 잡힌 러시아군이나 장비의 영상이  올라온 것을 발견하지 못했다. 

아토니프카 교량 아래로 러시아군의 철수하는 장면을 촬영한 SNS 동영상 켑쳐

 

러시아군의 의도를 파악하지 못한 우크라이나와 미국의 고위관계자

우크라이나와 미국에서는 그 의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다. 가디언의 기사에는 마크밀리 합참의장의 발언과 함께 당시 젤렌스키의 보좌관이었던 아레스토비치의 발언이 언급되는데, 철수 의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으며, 러시아군이 매우 느리게 움직이고 있다는 말을 한다.  이 때 까지의 모든 사항을 종합해보면, 러시아군은 수주동안 철수를 했다는 것이라고 결론을 낼 수 있다.

 

그렇다면 왜 우크라이나군은 러시아군의 후퇴를 대체로 방해하지 못한 것일까? 두 가지 가설이 가능하다. 첫 번째 가설은 우크라이나군이 하도 피해를 많이 입었기 때문이다.  아래 NYT 기사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온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통상 피해수치를 공개하지 않는다. 그런데 지난주 인터뷰한 장병들에 따르면, 전투 손실에 대해서 "높다", "엄청나다"와 같은 표현이 많이 나온다. 전차와 장갑차에 의한 개활지를 통과하려는 대규모 기동은 러시아군의 포병공격과 지뢰에 심하게 손실을 입었다. 이에 따라 우크라나군은 후퇴하는 러시아군을 공격할 만한 여력이 전혀 없는 상태였다고 볼 수 있다.

 

2022년 9월 24일자 NYT 기사,

 

두번째 가설은 디코이 같은 것을 사용하여 서방의 위성 정보를 교란하여 실제로는 철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후퇴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위장하여 기만전술에 성공했다는 것이다. 만약 그렇다면, 우크라이나군은 러시아군이 거의 대부분 후퇴했을 때에도 후퇴사실을 몰랐을 수도 있다. 

필자는 첫번째 가설이 사실에 가깝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이미 우크라이나군은 크게 손실을 입은 상태로 그 이후에도 별로 힘을 발휘하지 못했다는 생각으로 이어진다. 즉 헤르손 후퇴가 우크라이나군의 마지막 승리인 셈이 된다. 이후에 우크라이나군은 능력이 소진되었음을 시사한다. 

 

결국 드네프로강 서쪽에 전개한 러시아군은 너무 과다하게 노출되었고, 지나치게 확장한데다가 보급이 약화되어 지속이 불가능한 위치에 있게 된 것이다. 따라서 철수한 것은 군사적으로 매우올바른 결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적기에 철수했으므로 러시아군은 드네프로강 동쪽에서 방어를 준비할 태세가 될 뿐아니라, 부대를 우크라이나 전장 다른 곳으로 이동할 수 있는 여유가 생겼다. 

이후 이어진 전투에서 러시아군은 바흐무트에서 공세를 재개할 수 있게 되었다. 우크라이나군이 하르키프 반격을 개시할 즘에 러시아군은 바흐무트 공세를 재개하였다.  2022년 10월 8일 우크라이나군의 주공이 헤르손과 하르키프 공세에 손이 묶였을 때, 프리고진의 와그너 그룹은 바흐무트 공세를 시작하였다. 일주일 후 젤렌스키는 바흐무트에서 어려움을 토로한다.

 

 

Russia lost almost 65 thousand killed, but even 100 thousand will not make them think Zelenskyy

KATERYNA TYSHCHENKO - SATURDAY, 15 OCTOBER 2022, 21:01 President Volodymyr Zelenskyy declares that Russia has already lost almost 65,000 soldiers in the war against Ukraine. Source: President's Evening address Quote: "The total losses of the enemy in terms

www.yahoo.com

 

헤르손 철수 2개월 후인 2023년 1월에는 잘 버티던 솔레다르와 인근 크리이나호라 함락되어 바흐무트를 완전 포위 소탕 작전의 시작을 알린다. 결국 2023년 5월 20일 바흐무트는 러시아군이 함락한다. 

솔레다르함락과 바흐무트 북부 함락 타임랩스

 

 

바흐무트 전선변화 타임랩

 

바흐무트 후퇴를 반대한 젤렌스키에 대한 비판

우크라이나군의 세르기우스 크르지워노스 장군은 바흐무트 철수를 요청했으나 젤렌스크가 반대하여 결국은 크게 피해를 입었다. 그는 한 방송에서 이를 공개적으로 지적하였다. 바흐무트는 오래 전에 항복했어야 했다. 그것은 전략적 의미가 없었다. 젤렌스키가 자기의 위신을 위한 포로파간다식 전투를 벌인 것이다. 

 

 

X의 Janusz Korwin-Mikke님(@JkmMikke)

P.gen.Sergiusz Krzywonos ma rację: Bachmut należało już dawno poddać. Nie ma on żadnego znaczenia strategicznego - IIEE Włodzimierz Putin i Włodzimierz Zełenśky urządzili sobie propagandowe zmagania o prestiż. Co skończy się źle dla prezyden

x.com

 

사실을 감추는 서방과 우크라이나

매우 이상한 바흐무트전투는 다음 포스팅에서 다루기로 한다. 헤르손 철수에 대해서는 서방의 어떤 매체에서도 상세히 다루고 있지 않다. 헤르손 철수의 가장 의문점은 "왜 러시아군이 격전 중에 수주일에 걸쳐서 하나뿐이 다리가 파괴된 상황에서 매우 천천히 철수를 했는데도 우크라이나는 조심하고 있었을까?"라는 점이다. 서방의 보도는 러시아의 철수를 조심스럽게 지켜보고 있는 우크라이나군의 모습을 전하고는 있다. 그러나 그 이유는 감추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Kherson: As Russia retreats, Ukrainians still fear a trap

"I learnt not to believe a word the Russians say," one resident tells the BBC's Jeremy Bowen.

www.bbc.com

 

필자의 생각은 첫번 째 가설이다. 즉 우크라이나군이 하도 심하게 피해를 입어서 천천히 후퇴하는 러시아군을 공격할 여력이 전형 없었다는 것이다. 우크라이나군은 드네프로 서안에서 패배했다는 사실을 숨기고 마치 철수하는 러시아군이 혹시라도 함정을 팠을까 두려워하면서도 러시아군이 패퇴당한 것으로 묘사하여 정신승리를 거두고, 이를 서방에 선전하여 전쟁에 대한 지원을 불러왔다고 본다. 

 

수로비킨 라인의 전투

 

이 전투를 가장 잘 설명한 사람은 스위스예비역 대령 자크 바우드이다. 그는 그의 저서 Russian Art of War 에서 이 상황을 동적방어개념으로 설명한다. 수로비킨 라인이라는 개념은 다음과 같이 3개의 방어 영역을 구성한다.

 

첫번 째 지역은 약 50km 폭의 coverage area이다 이 안으로 들어오는 전력에 대해서는 ROK/RUK 개념(정찰-타격의 조합, 센서-슈터 개념과 유사)으로 타격한다. 주로 장거리 수단에 의지한다. 이 영역에서는 방어하는 군이 없거나 적다. 위장의 목적으로 적이 공격해오면 다른 진지로 이동하는 등의 소극적인 작전을 펼친다. 적을 노출시켜서 후방의 화력으로 타격하게 한다. 

 

두번 째 영역은 주 방어 지역이다. 적이 이곳까지 도달하면 방어부대가 직접 접근하여 격퇴한다. 

 

세번 째 영역은 대기 지역이다. 예비 부대가 전방 방어선이 돌파위험이 있거나 보충이 필요할 때 투입된다. 

전체적으로 100km의 종심을 50:30:20의 비율로 나눈다. 

 

그러니까 우크라이나군은 수로비킨 라인에서 러시아의 Coverage Area에서 당한 것이다. 이 때의 손실교환비가 5:1 정도로 보인다. 앞의 여러가지 증언을 종합하면, 동적방어가 제대로 작동한 것을 충분히 추정할 수 있다.

러시아군의 동적 방어 개념. 소위 수로비킨라인이라는 2022년 10월에 실시한 작전, 우크라이나군은 주 방어선에 도달하기전 커버리지 지역에서 섬멸당하는 수준으로 크게 패퇴한다. 출처: Rusisan Art of War, (Jacque Baud)

 

이 개념을 드네프로 서안지역에 적용하면, 대략 아래의 그림과 같이 나눠서 생각할 수 있고, 우크라이나군은 Coverage Area에서 심각하게 타격을 입었을 것이다. 따라서, 러시아군이 대기구역과 주방어구역에서 철수할 때도 우크라이나군은 함정에 빠질까 두려워서 전진할 수 없었을 것이다. Coverage Area에서만 손실을 입었다면, 러시아군은 제대로 만나보지도 못한 채 괴멸상태가 되었다고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추가 증거 자료

 

최초 포스팅한 후에 댓글에 대해서 답변을 준비하던 차에 자료를 확인해서 추가합니다. 우크라이나군의 인원손실 data를 보면, 우크라이나군이 헤르손 공격을 시작한 7.27 부터 (본격 공격은 9월초) 러시아군이 철수를 완료한 11월11일 이전 2-3주까지 우크라이나군의 인원손실이 급증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붉은 색 타원 부분), 당시의 대대적으로 선전한 다른 전선은 하르키프 공세였는데, 여기서는 의미 있는 교전이 없었다. 따라서 붉은 타원에 표시된 부분은 대부분 헤르손 공격에서 발생한 손실로 평가할 수 있다. 이는 첫 번째 가설을 지지하는 방증으로 보인다.

 

우크라이나군 1일 인원손실 그래프. 출처: 러시아 국방부

 

거짓말 거짓말 또 거짓말

 

러시아군의 철수 발표 다음날인 2022년 11월 12일  젤렌스키는 헤르손을 방문하여 역사적인 날을 기념한다. 이날 이후 우크라이나는 모든 전선에서 연전 연패한다. 필자는 이날이 러우전에서 공식적으로 우크라이나가 패배한 날이라고 본다.  

 

거짓말로 죽어나간 아까운 생명들

 

그래도 젤렌스키는 연말에 미의회에 가서 승리의 연설을 한다. 필자의 데이터로는 2022년 11월 11일까지 우크라이나의 인원손실누계는 132,667명이었다. 이 포스트를 올린 2025년 3월 24일 기준으로 1,124,965명이다. 100만명의 추가 손실이 발생했다. 거짓말 때문이다. 뒤에서 박수치는 민주당의 두 여자들을 보면 치가 떨리다. 저 사람들이 정권을 잡았으면 더한 일이 발생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