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차단(Interdiction)작전
전장의 구역구분에 따른 공격을 근접공중지원(Close Air Support), 전장차단(Battlefield Interdiction), 차단(Interdiction) 등 3가지로 구분한다. 현재 러시아의 주된 노력은 우크라이나 후방에 위치한 폭격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차단(Interdiction) 에 해당된다. 러시아는 전선지역(Front Line Of Troops) 의 우크라이나군이나, 협조지역에서 전선으로 진입하는 우크라이나군이 많이 약한 상태이므로 이제 후방에 있는 전력을 타격하는 단계라고 판단하고 있다는 뜻이다.
키에프, 하르키프, 드네프로, 미콜라예프 등 주요도시의 군사시설과 방위산업 시설들에 대해 미사일, 드론, FAB 폭격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흑해함대에서 해상발사 미사일을 사용하기도 했다. 러시아국방부는 이 공격에 미사일은 70발, 드론은 145기가 사용되었다고 했다. 이 공격에 대해서 트럼프가 그만해라고 트윗을 날리기도 했다. 트럼프의 평화 코스프레는 매우 위선적이거나 우매한 것으로 보인다. 예멘에 폭격을 일삼은 그가 생명에 신경을 쓰는 것은 그다지 설득력이 없을 뿐아니라 모순적이기도 하다. 아직은 결론을 내리기에는 확인해야 할 남은 사항들이 있지만, 협상은 물건너 갔다는 느낌이 들기도 한다.협상에 대해서는 곧 포스팅을 할 예정이다,
전선상황 업데이트
분석은 엉망이지만 지도하나는 잘 그리는 ISW의 지도를 이용해서 전황을 설명한다. 전황자료는 텔레그램 채널의 여러 자료들 중에서 교차 검증이 어느 정도 된 것을 중심으로 필자가 선택하여 기술한다. 따라서 약간의 바이어스나 오차가 있을 수 있음을 인식하기 바란다. ISW가 생각하는 주공 조공 방향을 표시하였다. 초록색 동그라미로 표시된 곳이 최근 치열한 전투가 발생한 곳이다.
쿠르스크-수미 지역
전 국방장관 쇼이구에 따르면 러시아군은 이 달 내로 쿠르스크에서 우크라이나군을 몰아 낼 것으로 보인다. 현재 러시아군은 쿠르스크를 지나 수미쪽으로 국경선을 상당히 넘어 들어온 상태이다. 향후 수개월 간 완충지대를 확보하기 위한 작전을 계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쿠르스크 지역 내에서 러시아군의 작전은 지뢰제거 작업이 주된 작업으로 보인다. 현재 러시아 92 전투공병연대의 전투공병이 쿠르스크 국경부근에 깔린 지뢰를 제거하고 있다. 쿠르스크의 남은 부부인 구예보에서는 러시아군이 보병 여단 1, 연대 2, 대대1 정도의 부대로 작전 중이다.
지도 아래부분에 푸른 색으로 표시된 영역 4곳(쿠르스크 1, 벨고라드 3)에 우크라이나 군이 진출해있으나 소규모이다.
우크라이나군이 쿠르스크를 대신하여 벨고라드 지역에 침공한 부분은 3군데의 분리된 지역이지만, 우크라이나군의 규모가 중대급+ 정도로 소규모로 구성되어 있다. 러시아 블로그들은 우크라이나군이 포폽카와 데이돕카 지역에서 역공격을 시도하였다고 한다. (아래 지도 녹색 원 부분)
루한스크 전선 전체 상황
초록색원으로 표시된 지역이 격전이 발생하고 있는 곳이며, 그 크기가 치열도를 반영하고 있다.
리만 지역
현재까지 가장 활발한 곳은 리만 지역이다. 러시아군은 리만 동쪽의 카레린브카, 노보이칼일립카, 노베, 리드보더브, 미메, 콜로디야지, 젤레나 돌리냐, 리만 동쪽의 콜스케 근처 등에서 공격 중에 있다. 우크라이나군은 중앙 발카/주랍카 방향의 돌출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방어군을 지속적으로 투입하여, 때때로 전선이동이 며칠간 정지되는 현상도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점진적으로 러시아군이 전진해나가고 있다. 북쪽 코팡키도 포켓이 형성되어 가고 있는 중이다.
도네츠크 전선
포크롭스크 지역에서는 러시아군이 오토바이를 이용하여 개활지를 통과하여, 우크라이나군의 방어선을 신속하고 침투한 다음에 증원군이 도착하기 전까지 위치를 유지하는 작전을 계속하고 있지만, 아직 전술적으로 의미 있는 성공을 거두지는 못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챠시브야 방향으로도 러시아군이 계속 공격 중이나, 의미 있는 전진을 달성하지는 못하고 있다. 우크라이나군 여단 대변인에 따르면 러시아군은 병력의 우위를 이용하여 장갑차량으로 보병을 전선 근처까지 수송하여, 하차전투를 하고 있다고 한다. 러시아군은 공격전술에서 순서를 바꾸는 방법으로 기습의 효과를 얻으려고 한다.
토레츠크 방향에서는 러시아군여러 방향에서 상당히 전진하였다. 한편 서-토레스크에서는 우크라이나군도 약간의 전진이 있었다.
포크롭스크 주변
러시아군의 포위 노력이 지속되는 가운데, 포크롭스크 남서쪽 방향의 포위를 위한 돌파 노력은 우크라이나군의 차단 시도(우다치네, 세브쉔코 등 파란색 표시)가 지속 중이고, 포크롭스크 동쪽의 진출은 다소 활발한 편이다. 풍선효과로 인한 포크롭스크 남쪽의 도네츠크 전선에서 러시아군의 진출이 활발하다.
노보파블립카 방향
이곳이 현재로는 드니프로페트롭스크 주에 가장 가까운 곳이다. 러시아군의 공세가 계속되지만 전진은 보고되지 않고 있다.
쿠라호베 방향
안드립카와 콘스탄티노필에서 진출이 활발하다. 계속해서 영토점령상황이 변하고 있다. 5월 9일 이전에 뭔가 큰 돌파가 기대되는 상황이다.
자포로자 방향
이 지역은 돈바스 전체의 작전에서 전형적인 조공지역 또는 전선을 유지하는 목적이다. 우크라이나군이 공격하여 침투하게 되면, 도네츠크 전선에서 공세를 펼치고 있는 러시아군의 후방이 노출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러시아군의 후방을 안전하게 방호하는 개념으로 보면 된다. 간혹 여건이 허락하거나 필요한 경우 공세를 펼쳐서 우크라이나군을 분산시켜 도네츠크 전선에서 러시아군의 공격을 쉽게 도와주는 방식의 조공을 할 때도 있다. 현재가 조공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다. 그다지 공세가 활발하지는 않다. 러시아군의 공격과 우크라이나군의 반격이 반복되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 > 우크라이나 전쟁 바로 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르스크 작전 결과 (2) | 2025.04.29 |
---|---|
제라시모프의 북한군 참전 인정으로 유추할 수 있는 점들 (8) | 2025.04.27 |
신사임당 출연영상 #3 (1) | 2025.04.23 |
러시아의 오데사 점령 가능성 (0) | 2025.04.23 |
웅달책방 출연영상(update) (10) | 2025.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