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15

Kursk 전황 - 웅달책방 출연, 그 이후

웅달책방에 출연하여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해서 몇 가지 의견을 말씀드렸다. 그 때, Kursk 전황에 대해서 먼저 설명하였는데, 이후에 관련한 내용이 유튜브에 올라와서 함께 올린다. 전황에 관심있는 분들이 비교해서 보시기 바란다.  웅달책방 출연영상: Kursk 작전에 대한 9.9일까지의 전황을 설명  https://www.youtube.com/watch?v=MNFt9pI63B0쿠르스크 방어 투입된 체첸의 아흐마트(AKHMAT) 특수군 사령관의 인터뷰(현지시간 9.16) 내용 이 사령관의 인터뷰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우크라이나군의 공격(Offensive)을 유도하여 우리가 역습(Counter-Attack)하는 것이 훨씬 낫다. 왜냐하면, 확실히 파괴하고 전진할 수 있기 때문이다. NATO 전체가 이..

크루스크 공격의 부작용

Kursk는 철강, 화학 등이 발달해있고, 원전이 근처에 있으므로 도심지역의 인구는 40만 정도로 꽤 큰편이나 나머지 지역은 흑토지대라서 농토와 수풀로 이루어진 지역이 대부분이다. 8월 6일 우크라이나군의 공격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공방전이 진행 중이다. 그런데, 우크라이나군은 이곳에 부대를 돈바스지역에서 전환시켜 투입하였다. 결과적인 풍선효과로 돈바스 전선이 급격히 붕괴되는 부작용이 나타났다. 심지어는 WSJ에서도 그와 관련된 기사를 내었는데, 아래 헤드라인은 8월15일자 기사를 캡쳐한 것이다. 10일이 지나지 않는 시간에 상황이 파악될 정도로 여파가 급격하게 나타났다는 뜻이다. 돈바스지역의 우크라이나 방어부대는 2014년 이후 8년간 구축한 강력한 방어선을 의지하여 전투를 하였으므로 비록 전투에서는 밀..

우크라이나 전장에서 나타난 군사 기술의 발전 - (1) 전자전

전자전의 발전은 기술적인 측면은 아직 진단하기 어렵다. 정확한 기술적 진화를 아직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존의 레이다와 전자전 기술을 뛰어 넘는 기술의 등장여부는 전쟁이 끝난 한참 뒤에나 밝혀질 것이다. 그러나 그 적용의 광범위성은 눈에 띄게 발전하고 있다. 어떤 기술도 몇 주 안에 무력화시켜버리는 편재성(ubiquatousness)이라고 할까, 여하튼 규정하기 힘든 현상이 목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다음의 무기들을 들 수 있다. 엑스컬리버 유도 포탄엑스컬리버 유도 포탄은 2007년 미국이 개발한 155미리 포탄으로 GPS유도 방식이며, 정확도는 CEP(원형공산오차) 4m인 획기적인 정밀탄약이다. CEP 4m는 20~40km 밖에서 발사했을 때 탄착점의 50%가 표적중심의 반경 4m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