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 35

반역자: 러시아의 90년대 다큐멘터리

필자는 서방이 만든 "민주주의 국가 우크라이나를 독재자 푸틴의 구소련의 영광을 재현하기 위해 침략한 전쟁"이라는 러우전의 내러티브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또한 우크라이나는 민주국가가 아니며, 사실 상 헌법을 어기고 있으며, 네오나치에게 민주주의가 강탈 당한상태라고 생각한다. 한편, 러시아는 구소련과 같은 나라가 아니며,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는 민주국가라고 말해왔다. 즉, 우크라이나와 비교해서 러시아를 평가한 것이지, 러시아의 절대적인 민주주의 정도를 평가하지는 않았다. 평가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당연히, 러시아가 어느 정도의 민주국가인가라는 것은 토론의 대상이다. 민주국가 어떤 것을 말하는지 부터도 정의해야 할 정도로, 민주주의 국가의 개념은 모호하다. 필자가 아는 민주주의의 정의는 "cons..

정치적 이슈 2025.03.22

러우전 전황 업데이트 3-21

1. 전황 요약Kursk 지역쿠르스크 지역은 우크라이나군이 수좌에서 밀려난 뒤에는 특별한 전황이 없다. 우크라이나군이 아직 쿠르스크 지역에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영토를 장악하고 있다기 보다는 곳곳에 산재되어 있을 뿐이다. 사령부로부터 철수 명령이 없는 상태에서 더 군사력을 투입한다는 주장도 있지만, 확인되지 않은 상태이다. 아직 러시아 영토내에 우크라이나 군이 있다는 것을 제외하면, 크게 의미가 없다. 오히려 러시아군에게 버퍼존(완충지대)를 확보하라는 명령에 따라 앞으로 후속될 러시아군의 수미지역 진출에 대해서 우크라이나군이 대비해야 하겠지만, 러시아군이 버퍼존을 확보하는 것도 시간을 서두럴지는 의문이다. 이 전쟁 전반적으로 러시아는 노출된 공격을 삼가하고, 가급적 우크라이나를 끌여들여서 소모시키는 작..

마이단 학살, 증거 및 판결

필자는 러우전의 시발은 민스크협정을 준수하지 않고 돈바스와 크림을 재정복하라는 젤렌스키의 행정명령에 대한 선제공격의 성격이었고, 멀리 가면 돈바스 전쟁과 그 뿌리가 되는 유로마이단 쿠데타이며, 이 방아쇄를 당긴 사건은 유로마이단에서 학살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저격수를 동원했다는 주장을 한 바 있다. (아래 동영상 5:40~ 참고)서방의 언론에서 보도를 하지 않으므로, 믿거나 말거나 수준의 담론이 되어버린 위의 주장이 사실은 증거가 충분하고, 심지어 우크라이나 법원에서도 판결이 난 사실을 아는 사람들은 거의 없다.  본 포스트에서는 이에 대한 증거를 제시하여 사실에 관심있는 독자들은 살펴볼 수 있게하고, 혹 살펴볼 여유가 없는 독자들에게는 증거 문서들의 존재만이라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준수 의사가 없었던 민스크 협정, 물건너간 러우전 휴전협정

민스크1 협정과 민스크2 협정에 대해서는 위키피디아만 봐도 잘 정리되어있다. 특히 데발체보에서 우크라이나군이 패배하자 2015년 2월에 두 번째 협정(민스크 2)이 체결되었다.  그런데, 푸틴의 기대와 달리, 민스크 협정은 준수 의사가 없었던 협정이었다. 앙겔라 메르켈은 Die Zeit와의 인터뷰에서 협정을 맺은 이유가 우크라이나군을 건설할 시간을 벌어야 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당연히, 이것은 메르켈만의 생각은 아니었다. 페트로 포로센코 당시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민스크2 협정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우리는 우리가 원하던 모든 것을 이뤘다"고 그는 평화 협정에 대해 말했다. "우리의 목표는 첫째, 위협을 멈추거나 최소한 전쟁을 지연시키는 것, 즉 경제 성장을 회복하고 강력한 군대를 창설할 수 있..

트럼프-푸틴 2차 통화 내용 정리

트럼프와 푸틴 두 정상간의 지난 2월 12일 이언 2번 째 통화가 3월 18일에 있었다. 양측의 공식 발표내용을 중심으로 정리해본다.1. 백악관 공식발표 통화내용2025년 3월 18일다음은 캐롤라인 레빗(Karoline Leavitt) 대변인이 작성한 내용이다. 오늘 트럼프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전쟁의 평화와 휴전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했다. 두 지도자 모두 이 갈등이 항구적인 평화로 종식되어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 그들은 또한 미국과 러시아 간의 양자 관계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이 전쟁에서 쏟아부은 피와 보물은 자국 국민의 필요에 쓰는 것이 더 나을 것이다.이 갈등은 결코 시작되어서는 안 되며, 진지하고 선의의 평화 노력으로 오래 전에 끝났어야 했다. 양국 정상은 ..

아레즈닉에 대한 뒤늦은 평가

몇 시간 전에 Foreign Policy라는 저널에서 뒤늦게 Oreshnik(아레즈닉)에 대한 분석기사를 올렸다. 늦어도 한참 늦은 분석이다. 그동안 5개월 가량 지나는 동안 아무 소식도 없다가 이제사 낸 분석기사에 별다른 내용도 없다. 일단 기사가 올라왔으므로 내용을 소개하고 평가를 한다. CNA(Center for Naval Analysis)의 Decker Eveleth가 작성한 기사이다.기사 내용 설명최신 러시아 미사일은 NATO에 나쁜 소식이다. Oreshnik은 이전 짐승과 다른 짐승이다. 지난해 11월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에 새로운 종류의 미사일을 발사했다. 러시아는 드니프로에 대한 공격에서  중거리 탄도 미사일 오레쉬니크(러시아어로 "헤이즐넛 나무"를 의미)를 선보였다. 비록 비활성 자탄만 사..

러우전 참전 네오나치 문제

1. 나치 이미지 숨기기서방 정부들은 우크라이나에서 나치 이미지를 숨기라고 언론에 말했다 — SVR 오늘 러시아 언론에서는 일제히 위의 제목이 달린 러시아 해외정보부(SVR) 발표내용을 기사화했다. 아래 단락은 TASS 통신의 기사내용을 번역, 발췌한 것이다.   서방 국가 정부는 자국 언론에 나치 상징을 사용하는 우크라이나 군대의 증거를 은폐하도록 지시했다고 러시아 해외 정보국 (SVR) 언론 서비스는 TASS가 입수한 성명서에서 밝혔다. 언론사들은 우크라이나에서 일어나는 사건을 취재 할 때 기자들이 촬영시 "나치 깃발, 휘장, 제복을 착용하고 특징적인 인사 제스처를 취하는"우크라이나 군대에게 "선전 요소를 제거하고 원치 않는 행동을 삼가하게 하도록 정중하게"요청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밝혔다.  "SV..

미국 최신 무기의 무력화 사실 확인

필자는 과거 여러 포스트와 유튜브 방송출연에서 군비경쟁에서 미국이 러시아에 패했다는 요지로 미국과 러시아의 군사력에 대해서 논평한 바 있다. 이에 대해서 아직도 많은 독자들과 시청자들은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다. 그것은 군사력의 실체를 파악한다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한 국가의 군사력을 전체적으로 평가한다는 것은 정보가 뒷받침해야하지만, 정보는 한계가 존재한다. 또 다른 점은 군사력은 단순히 무기나 군사장비의 조합 만이 아니고, 실제 전장에서 구현하는 힘과 지략과 기술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군사력의 구체적인 모습을 상세하게 알기는 쉽지 않기 때문이다. 군사력은 단지 현존 군사력 만이 아닌 잠재군사력도 존재한다.  이렇듯 군사력의 모든 요소들 다 평가한다는 것은 지난하다. 따라서 국방비, 군사..

우크라이나 나치

젤렌스키가 제거될 것 같은 분위기이다. 현재 우크라이나는 회색의 추기경이라는 안드레이 예르막이 실권자로 보인다. 그러나 이들의 관계가 어떻게 되는지는 알기 쉽지 않다.   이 포스트는 요즘 세상에 나치가 어디 있느냐고 생각하시는 분들에게 소개하는 내용이다. 우크라이나가 민주주의 국가라고 철썩 같이 믿고 계신 분들에게는 충격적일 수 있으나, 영상의 내용은 우크라이나 네오나치의 입문서도 되지 않는다. 트레일러에 가깝다고 생각하면 된다. BBC 영상서방의 주류 언론이 이런 영상을 만드는 이유는 진실을 밝히기 위함이 아니다. 보통 이들은 면피를 하기 위해서 이런 영상을 만든다. 언듯 보면 매우 중립적으로 있는 사실을 취재한 것으로 보이고, 또한 사실이기도 하다. 이런 영상을 보면서 주의해야 할 것은, BBC가 ..

협상안에 대한 푸틴의 반응

외교는 자국의 힘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지만, 물리적, 경제적 힘을 사용하지 않고 설득을 통해 문제를 풀 수 있는 수단이다. 따라서 어려운 문제일수록 외교의 수단을 자주 사용하려고 하는 것이 좋은 정책시행 방법이다.미국과 우크라이나의 대표단이 사우디에서 만나서 9시간 여 끝의 회담 끝에 30일 휴전안을 합의하여 이를 들고 러시아에 가서 제안을 한다고 했는데, 명시적으로는 러시아의 공개된 정책방향에 정면으로 반하는 것이다. 물론 공개하지 않고 크레믈린에 가서 말할 내용이 있다고 했으니까 분명히 러시아가 원하는 방향으로 한 걸음 나아가는 안을 가지고 갔을 것이다. 그것은 항구적인 평화안 또는 근본문제 해결과 관련된 문제일 것이다. 분석을 통해서 짐작을 할 수가 없는 것은 미국-우크라이나의 협상팀의 외교적 상상..